도피안사

도피안사

사찰찾기 0 221  
65251cb99cfcb09e77cde7bb5f533a56_1720967119_4003.jpg

 

65251cb99cfcb09e77cde7bb5f533a56_1720967132_6035.jpg

 

65251cb99cfcb09e77cde7bb5f533a56_1720967132_7944.jpg

 

65251cb99cfcb09e77cde7bb5f533a56_1720967132_9653.jpg

 

65251cb99cfcb09e77cde7bb5f533a56_1720967133_206.jpg

 

65251cb99cfcb09e77cde7bb5f533a56_1720967133_384.jpg

 

65251cb99cfcb09e77cde7bb5f533a56_1720967133_5776.jpg

 

도피안사

到彼岸寺


도피안사는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간다.'라는 뜻을 가진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하다.


국보 제63호 철조비로자나불좌상造毗盧遮那佛坐像이 모셔져 있고 보물 제223호 삼층석탑三層石塔이 있다.


[國가 철원 지방의 향도 천여 명을 거느리고 산수가 좋은 곳을 찾던 통일신라 제48대 왕인 경문왕 5년(865년)에 도선국사' 중화개산 현 위치에 터를 잡고 도피안사를 처음 세웠다.


대한제국 광무 2년(1898년)에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된 것을 당시 주지 스님이었던 법운 스님이 다시 세웠다. 그 후 1941년 1월 당시 주지 스님이었던 김의권 스님이 사찰을 고치고 정비하여 전통사찰로 이어져 오게 되었다.


광복 후에는 철원 지역이 공산 치하에 있었던 시기에 사찰도 공산 치하에 있었다. 

1950년 6.25전쟁으로 인해 완전 소실된 것을

1957년 11월 육군 제15사단이 복원하여 군"

에서 관리하게 되었다. 

1986년에 사찰 관리권이 민간으로 이관되면서 1988년부터 정부의 지원으로 대적광전大寂光殿과 삼성각 을 개축하고 범종각, 사천왕문四天 일주문을 중건하여 오늘에 三聖閣 , 四天王門

이르고 있다.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鐵原 到彼岸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국보 제63호


소재지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450


이 불좌상은 신체와 대좌가 모두 철로 된 신라말의 보기드문 불상이다.

뒷면에 새겨진 139자의 명문 가운데 “함통6년 기유 정월" 의 문구가 있어서 이 불상의 제작시기는 신라 경문왕 5년(865)임을 알 수 있다. 

살상투의 표현이 분명하지 않은점, 계란모양의 단정한 얼굴, 이상적이며 생동하는 느낌이 사라진 극히 현실적인 체구 등에서 우리는 당시의 참선하고 있는 스님을 대하는 듯한 친근한 느낌을 받는다. 

법의에는 얇게 빚은 듯한 평행 옷주름이 전면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러한 옷주름은 9세기 후반기 불상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특히 명문에 의하여 이 불상은 철원군의 거사 신도 1,500여명의 열렬한 신앙심에서 만든 것으로써,

당시의 활발했던 불교신앙 결사의 한 단면을 엿보게 한다. 이와 함께 이 불상은 당시 유행하던

철조비로자나불상의 새로운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정보

  • 주소 대한민국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도피동길 23
  • 시군구 철원군
  • 창립연대 신라 경문왕5년 865년
  • 소재지전화 033-455-2471

길찾기

  •   
  •   
0 Comments     0.0 /